손씻기 VR영상 실재감 실험연구 (2017)

본문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미디어를 체험하는 것으로 발생한 사용자 경험이 감염병 예방을 위한 손 씻기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검증한 연구이다. 건강 행위를 촉진하기 위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메시지 설득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매개 변인들을 측정 및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손씻기 행위의 사용자 경험 연구는 주로 개인 위생에 관한 가상현실 비디오 체험을 통해 개인 위생에 대한 심리적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연구이다.


[연구디자인] 

플레이테스트 방법론, 사전사후실험설계


[분석방법] 

SPSS, AMOS 20,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상관관계분석, 다변량분산분석(ANOVA)


[실험방법]

본 연구는 감염병 예방을 위한 손 씻기 행위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 실재감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VR 영상 시청을 통한 실험을 실시했다. 실험은 2017년 5월 1일부터 17일까지 약 2주간 진행되었다. 75명의 남학생과 75명의 여학생이 실험에 참가하여 총 150명의 대학생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먼저, 실험 참가자들은 연구자로부터 실험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들은 뒤 HMD (head mounted display) 기기를 착용하고 본 연구를 위해 제작된 VR 영상을 시청했다. 영상의 제목은 ‘손 씻기를 통한 감염병 예방’이며 약 5분 길이로 재생되었다. 시청자들은 영상 속에 나타난 오염된 손을 관찰하면서 감염병 위험에 대해 인지하게 된다. 영상 시청을 마친 뒤, 실험 참가자들은 VR 영상에서 구현된 자아 실재감, 영상에 등장하는 인물에 대한 감정이입 정도, 감염병에 대한 인지된 민감성, 영상에 나타난 메시지에 주목한 정도, 손 씻기 행위 의도 등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안내를 받았다.


[실험도구] 

[하드웨어] VR Boss (Head Mount Display)

[소프트웨어] 가상현실 VR비디오 (5분)


[연구성과]  

Choi, D. H., & Noh, G. Y. (2020). The effect of presence in virtual reality video on handwashing intention.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30(3-4), 261-278.


최민지, 노기영. (2019). 가상현실 미디어의 자아 실재감이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0(6), 1125-1134.


Park, S. M., Choe, M. J., & Noh, G. Y. (2018). Factors Affecting Social-Presence and Self-Presence in Virtual Reality Media. JP Journal of Heat and Mass Transfer, ​Special Issue 2, 205-212.


Choe, M. J., & Noh, G. Y. (2018). Effects of VR Presence on Health Risk Percep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 Technology, 7 (3.24), 288-291.


Jang, H. J., & Noh, G. Y. (2018).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ence and Health Efficacy in VR Health Video. In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Research & Development, 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