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환경 정보행동 서베이연구 (2018)

본문

3eb6b38ff34652e4a40bffc26e98cdab_1672643601_7744.jpg
험 정보탐색 및 처리(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RISP) 모형을 이론적 틀로 하여 MERS 위기가 이어지던 당시 사람들의 MERS 관련 위험 정보 공유 행위에 영향을 미친 다양한 사회 인지적 요인에 대해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대한민국 성인을 대상으로 MERS 정보 공유 행위에 관한 전국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리서치 전문 회사에 의뢰하여 2018년 가을 대한민국 성인을 대상으로 한 전국 온라인 설문 형태로 진행되었다. 


 [Study 1] ​MERS 감염병 예방행동 온라인 서베이 연구 (2018.10) Co-I : 안지수


 샘플링 및 방법론


2018년 9월 MERS 유행이 한창이던 시기에 조사 회사를 통해 온라인 패널 설문을 진행하였다. 총 13,762명의 대한민국 성인에게 설문 참여를 위한 이메일이 발송되었으나, 2,235명이 본조사에 참여하였고 그 중 1,318명만이 설문을 마쳤다.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988명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응답자의 평균 나이는 40.46세였고, 48.7% (n = 481)가 여성이었다.


응답자들이 MERS 위기를 상기시킬 수 있도록 설문 첫 페이지는 MERS 관련 TV 뉴스의 스크린샷을 넣었다. 설문지는 지각된 위험성, 감정적 반응, 지각된 지식, 충분 임계값, 정보 공유의 주관적 규범, 지각된 정보 공유 능력, 정보 추구, 정보 공유 등에 관한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성과


[학술대회]

Ahn, J., Yoo, S., & Noh, G. Y. (2019, February 15-16). What prompts you to share information about communal risks? [Poster presentation]. The 22nd Asia-Pacific Conference on Global Business, Economics, Finance & Social Sciences, Bangkok, Thailand. 


[연구논문]

Ahn, J., Kahlor, L. A., & Noh, G. Y. (2020). Outbreak! Socio-cognitive motivators of risk information sharing during the 2018 South Korean MERS-CoV epidemic. Journal of Risk Research, 23(7-8), 945-961.



 [Study 2] ​미세먼지 예방행동 온라인 실험연구 (2018.10) Co-I : 장한진


 연구개요


미세먼지는 단기간의 흡입으로 갑자기 건강에 문제가 생기거나 신체에 변화가 나타나지는 않지만 장기간 흡입할 경우 미세먼지의 입자가 미세하면 미세할수록 코의 점막에서 걸러지지 않고 폐포까지 직접 침투하게 된다. 이렇듯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매우 작기 때문에 대기 중에 머물러 있다 호흡기를 거쳐 폐 등에 직접적으로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이동하여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에 대해 사람들에게 위험인식을 개선시키고 미세먼지를 예방하기 위한 행동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미세먼지 위험에 대해 좀 더 객관적이고 사실적인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미세먼지를 예방하기 위한 행동의 중요성을 높여주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다양한 사회적 위험 중 미세먼지에 주목하여 다양한 메시지 소구방법 중에서도 공포소구 메시지 방법에 초점을 두었다. 


 플링 및 방법론


1) 연구대상 

018년 10월 마케팅 조사회사를 통해 온라인으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 종료 후 각 설문 참여자에게는 마케팅 조사회사에 의해 마일리지 3000점이 지급되었으며, 대부분의 설문 참여자들은 대학교 재학 또는 졸업 이상의 학력(고절 또는 그 이하: 14.3%, 대학 재학 이상 대졸 이하: 29.5%, 대학원 재학 또는 졸업 이상: 56.2%)을 가지고 있었다. 설문은 20-50대 600명(여자:308명, 남자:292명)이 본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설문 참여자의 평균연령은 40.5세였고, 연령대는 만19세~29세 142명(23.7%), 만30세~39세 124명(20.6%), 만40세~49세 172명(28.7%), 만50세~59세 162명(27%)으로 나타났다. 


2) 실험물과 연구절차

실험 자극물로는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공원, 도시의 모습, 산책로, 공장 굴뚝, 고속도로, 관광지, 공업단지, 자동차, 바다, 주거지역 등 총 10종의 이미지를 미세먼지 자극물로 선정하였고, 설문에 앞서 파일럿 테스트를 진행하여 가장 많이 미세먼지 자극물로 선택된 이미지 3종 공장 굴뚝, 자동차, 도시의 모습을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실험 자극물에는 미세먼지 수준에 따라 저효과 3장, 중효과 3장, 고효과 3장의 이미지와 미세먼지 예방법에 대한 텍스트를 각각의 이미지에 동일하게 제공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는 실험군별로 무작위 할당된 600명이였으며, 구체적으로 미세먼지 저효과 자극물에 노출된 설문 참여자가 200명, 중효과 200명, 고효과 200명이였다.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 소프트웨어는  SPSS  22.0  버전이고,  통계는  Hayes(2018)의  PROCESS MACRO Ver.3.2.01의 플러그인을 이용하여 조절된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성과


[연구논문] 

장한진, 노기영. (2020). 미세먼지 공포소구가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반응효능감, 지각된 위협의 조절된 매개효과.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7(4), 53-101. 



 [Study 3] ​사회적 규범과 친환경 행동 연구 (2018.10) Co-I : 민지


 연구개요 


2018년 9월 MERS 유행이 한창이던 시기에 조사 회사를 통해 온라인 패널 설문을 진행하였다. 총 13,762명의 대한민국 성인에게 설문 참여를 위한 이메일이 발송되었으나, 2,235명이 본조사에 참여하였고 그 중 1,318명만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