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생리학적 측정실험연구 (2023)
본문
뇌파측정은 메시지 자극에 반응하여 피질각성(cortical arousal)을 반영하는 연속적인 기록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렉티브 미디어를 연구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이렇게 뇌파측정을 통해 얻어진 뇌파는 전통적인 미디어 효과 연구에서 사용되어온 언어지향적인 자기보고 측정방법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뇌파는 생리학적으로 두뇌의 안정 상태나 각성 상태를 반영하기 때문에, 미디어 자극에 의한 긴장이나 불안, 기쁨, 집중 등의 심리학적인 상태를 생리적으로 접근하게 하여 정서적 안정이나 각성을 나타내는 척도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실험디자인 |
뇌파평균차이분석, 상관관계분석, 파워스펙트럼분석, BatchPro분석, TextOpen 분석, 주파수분석, 설문조사
실험자극물 |
[하드웨어] DSI-24, EMG
[소프트웨어] DSI-Streamer, TeleScan
실험방법 |
실험은 오프라인 실험으로 진행되었으며 실험참가를 지원한 대학생 34명(남:21명, 여13명)이였으나 실험도중 한명이 실험을 포기하여 총 33명(남:21명, 여:12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참여자들은 실험을 시작하기 전에 실험절차와 주의사항에 대한 안내를 받고 동의서를 작성했다. 실험실은 방음 처리가 되어있고 5.1 서라운드 채널의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는 디지털 게임 실험실에서 진행하였으며, 27인치 모니터와 Tobii Pro Fusion Eye Tracker 및 DSI-24 뇌파기기를 활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여 생체정보를 측정하였다.
먼저 실험참여자들은 건식뇌파기기인 DSI-24를 머리에 쓰고 약 1분간의 배경뇌파와 안면부의 근전도를 측정하였다. 1분간의 배경뇌파와 안면부 근전도 측정이 완료된 후에는 Tobii Pro Fusion Eye Tracker를 활용하여 모니터와 안구의 활동을 Calibration 한 후 약 4분간의 영상을 시청하였다.
약 4분간의 영상을 시청하는 동안 뇌파와 안면부의 근전도는 실시간으로 측정하였고 이를 분석에 필요한 CSV 데이터로 저장하였다. 영상을 시청할 때에는 모니터 화면 외에 다른 불빛들은 모두 소등하여 외부의 빛을 통제하였으며, 실험참여자들의 움직임을 최소화 하여 뇌파와 안면부 근전도의 신호에 혼입될 수 있는 방해신호를 차단하였다. 약 4분간의 영상시청이 끝난 후에는 온라인을 통해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에게는 간단한 음료와 사은품이 제공되었다.
연구성과 |
-
장한진
연구교수
첨부파일
-
결과통지서 2023-04-05.pdf (107.2K)
1회 다운로드 | DATE : 2023-06-30 12:29:32
- 이전글인터페이스 디자인 UX 효과연구 (2023 학부생 프로젝트) 23.06.19
- 다음글VR 아바타 도덕성 실험연구 (2023) 23.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