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과 환경콘텐츠 온라인 실험연구 (2024)

본문

9019ac0b68fe0b01e2731b95d4e9532b_1728960413_7372.png
 

인공지능 기술이 우리의 생활 속에 깊숙이 들어오면서, 지역사회의 문제해결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정책을 마련할때도 인공지능을 활용한 사회공학적 고려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건강과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AI기반 커뮤니케이션 기술수용과 소통전략을 연구하고자 2024년 5월 전국 단위 1,200명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Study 1] 그린 CSR과 설득지식 전국설문조사 (2024.05) Co-I : 김옥현


 연구개요 

기후변화, 탄소발자국 등과 같은 환경 이슈가 전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으면서, 기업 또한 여러 형태의 사회책임경영이나 환경윤리경영으로 환경관련 인식을 확산시키고 있다. 공공기관과 달리 기업은 영리를 추구하는 조직이므로, 환경보호라는 이슈가 본래의 목적을 잃고 마케팅 소재로 전락할 우려는 항시 제기되어 왔다. 연구 1은 기후변화에 관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캠페인이 소비자의 설득지식(Persuasion Knowledge) 구조와 연계되는 과정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설명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기업의 비용절감 의도가 캠페인을 통해 드러날 경우 소비자들의 설득지식을 작동시켜 캠페인의 효과성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동하는지 살폈다. 사회적 책임 캠페인의 동기추론과 개개인의 설득지식이 설득메시지에 대한 태도와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플링 및 방법론

설문조사는 온라인 조사 전문기관인 글로벌리서치를 통하여 2024년 5월 7일부터  28일까지 실시되었다. 설문참가자는 해당 기관이 보유한 전국패널 중 참여의사를 밝힌 사람 중 대한민국 18세 이상 성인 1,200명이었다. 2024년 대한민국 성별, 나이, 지역별 인구구성 비율을 고려하여 할당표집하였고, 남성 51%, 여성 49%로 고르게 분포함을 확인하였다. 연령별로는 20대 17.7%, 30대 17.6%, 40대 21.1%, 50대 23.2%, 60대 이상 20.5%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 18.9%, 인천과 경기 30.2%, 강원과 제주지역은 4.2%의 응답자가 참여했으며, 그 외 지역은 10% 내외의 고른 분포를 보였다. 


 연구성과



 [Study 2]  인공지능 기반 게시판의 모더레이터 기능에 대한 알고리즘 감사인식 전국설문조사 (2024.05) Co-I : 김옥현


9019ac0b68fe0b01e2731b95d4e9532b_1728960543_9577.png


 연구개요 

AI 기반 커뮤니케이션 기술 수용과 관련된 소통 전략 캠페인을 설계하기 위한 전단계로, 인공지능 커뮤니케이터(AI Communicator)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2는 인공지능에 대한 비윤리적 판단 가능성 및 불투명한 답안 생성 과정에 대한 인간 사용자의 불신을 전제로, 인공지능이 관리자로서 사용자들을 관리 및 통제하는 상황에서 AI 기술의 수용 여부를 조사하였다. 특히, 알고리즘 감사의 개념을 바탕으로, 조직 공정성과 사회 정체성 이론을 적용하여 온라인 게시판에서의 AI 기술 수용 여부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플링 및 방법론

설문조사는 온라인 조사 전문기관인 글로벌리서치를 통하여 2024년 5월 7일부터  28일까지 실시되었다. 설문참가자는 해당 기관이 보유한 전국패널 중 참여의사를 밝힌 사람 중 대한민국 18세 이상 성인 1,200명이었다. 2024년 대한민국 성별, 나이, 지역별 인구구성 비율을 고려하여 할당표집하였고, 남성 51%, 여성 49%로 고르게 분포함을 확인하였다. 연령별로는 20대 17.7%, 30대 17.6%, 40대 21.1%, 50대 23.2%, 60대 이상 20.5%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 18.9%, 인천과 경기 30.2%, 강원과 제주지역은 4.2%의 응답자가 참여했으며, 그 외 지역은 10% 내외의 고른 분포를 보였다.


 연구성과



 [Study 3]  환경이슈의 윤리단계와 인지대응 전국설문조사 (2024.05) Co-I : 안창현


9019ac0b68fe0b01e2731b95d4e9532b_1728960614_6636.png


 연구개요 

환경 문제 인식 개선을 위한 정부와 기업의 노력이 실제로 환경 관련 인식, 태도, 행동의 변화로 이어지는지는 불확실한 상태에서, 연구 3은  환경 관련 메시지의 유형이 가지는 역할을 탐구하였다. 인공지능 커뮤니케이터(AI Communicator)의 발전 가능성에 주목하여, AI가 작성한 환경 관련 스토리에 대한 개인의 인지적 반응을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특히 환경 이슈와 함께 거론되는 윤리적 단계들을 설정하고, 개인의 대응 방안을 탐구하여 효과적인 미디어 콘텐츠 구성 전략을 도출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 유형이 수용자의 환경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며, 이를 통해 효과적인 환경 캠페인의 형태를 규명하고, AI와 연계된 향후 환경 문제 해결 접근법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플링 및 방법론

설문조사는 온라인 조사 전문기관인 글로벌리서치를 통하여 2024년 5월 7일부터  28일까지 실시되었다. 설문참가자는 해당 기관이 보유한 전국패널 중 참여의사를 밝힌 사람 중 대한민국 18세 이상 성인 1,200명이었다. 2024년 대한민국 성별, 나이, 지역별 인구구성 비율을 고려하여 할당표집하였고, 남성 51%, 여성 49%로 고르게 분포함을 확인하였다. 연령별로는 20대 17.7%, 30대 17.6%, 40대 21.1%, 50대 23.2%, 60대 이상 20.5%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 18.9%, 인천과 경기 30.2%, 강원과 제주지역은 4.2%의 응답자가 참여했으며, 그 외 지역은 10% 내외의 고른 분포를 보였다.


 연구성과



 [Study 4] 디지털 소유욕망과 환경관련 인식 전국설문조사 (2024.05) Co-I : 정원영


9019ac0b68fe0b01e2731b95d4e9532b_1728960627_7795.png


 연구개요 

개인의 태도와 의도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선행 단계로서, 개인의 선유 인식을 연구 4의 주요 과제로 삼았다. 오늘날 디지털 사회에서는 오프라인 생활만큼 온라인 생활도 일상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디지털 소유 욕망과 환경 관련 인식을 연계하여, 디지털 저장 강박증(Digital Hoarding Disorder, DHD)과 온라인에서의 관계성 욕구가 환경 관련 인식에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살폈다. 특히, 물리적 실체가 없는 디지털 자료를 강박적으로 저장하는 디지털 소유 욕망이 현대인의 습관적 경향이 되었다는 가정하에, 디지털 기기 내 모든 콘텐츠를 저장하는 현상의 근본 원인을 찾아내고자 수행되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와 개인 간의 심리적 거리감에 따라 이러한 저장 강박증 현상이 발생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면밀히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플링 및 방법론

설문조사는 온라인 조사 전문기관인 글로벌리서치를 통하여 2024년 5월 7일부터  28일까지 실시되었다. 설문참가자는 해당 기관이 보유한 전국패널 중 참여의사를 밝힌 사람 중 대한민국 18세 이상 성인 1,200명이었다. 2024년 대한민국 성별, 나이, 지역별 인구구성 비율을 고려하여 할당표집하였고, 남성 51%, 여성 49%로 고르게 분포함을 확인하였다. 연령별로는 20대 17.7%, 30대 17.6%, 40대 21.1%, 50대 23.2%, 60대 이상 20.5%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 18.9%, 인천과 경기 30.2%, 강원과 제주지역은 4.2%의 응답자가 참여했으며, 그 외 지역은 10% 내외의 고른 분포를 보였다.


 연구성과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