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ID-19 팬데믹 정보행동 서베이연구 (2020-2021)

본문

8d35bf6330dfeab01ccc67cd1bc51a8c_1672724475_8633.jpg


장기간 지속된 COVID-19 이슈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2020년부터 2021년까지 네 차례에 걸친 전국 온라인 설문을 통해 진행되었다.  


 [Study 1] ​COVID-19 정부신뢰와 정보추구 전국설문조사 (2020.02) Co-I : 구윤희 안지수


 연구개요 

 

2020년 4월 한국을 포함하는 11개국에서 한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정부는 언론, 기업, 비영리단체를 제치고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기관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는 위험정보추구 및 처리과정(RISP) 모형을 바탕으로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능력에 대한 믿음이 정보원 선호도 또는 정보 추구 패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고자 하였다. 이로써 정부에 대한 신뢰가 사람들의 위험정보 추구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원으로부터의 정보추구를 조사함으로써 기존의 위험정보 추구모형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플링 및 방법론


설문조사는 전국 단위 설문조사 회사인 글로벌리서치를 통해 2020년 2월 27일부터 2020년 3월 3일까지 진행하였다. 2,259명이 온라인 설문에 참여했으나 완료한 참여자는 1,500명이었다(응답률: 66.7%). 설문 중간에 계산 문제(예: 2+5 = ?)를 넣어 불성실한 참여자들을 탈락시켰다. 지역별로 균등하게 할당표집 하였으며, 남녀 비율도 비슷했다(남: 51.3%, 여: 48.7%). 참여자의 연령은 19세에서 59세까지 고르게 분포외었다. 


 연구성과


[학술대회]

김활빈. (2020. 7. 4). 코로나19 이슈에서 정책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문제해결 상황이론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2020년 봄철 정기학술대회, 온라인.


안지수. (2020. 10. 17). 정부 신뢰가 다채널 정보추구에 미치는 영향: 정보 필요성과 부정적/긍정적 감정의 매개 역할. 한국언론학회 2020년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온라인.


구윤희. (2021. 5. 14). 정보의 주변적 처리가 건강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2021년 봄철 정기학술대회, 온라인.


[연구논문]

Kim, H. K., Ahn, J., Atkinson, L., & Kahlor, L. A. (2020). Effects of COVID-19 misinformation on information seeking, avoidance, and processing: A multicountry comparative study. Science Communication42(5), 586-615.


안지수, 구윤희, 노기영. (2021). 코로나 19 초기에 정부 신뢰가 다채널 정보 추구에 미치는 영향: 정보 불충분성과 감정 반응의 매개 역할. 한국광고홍보학보23.


Choi, D. H. (2021). The multifaceted impact of social media on risk, behavior, and negative emotions during the COVID-19 outbreak in South Korea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31(5), 337-354.


Ahn, J., Kim, H. K., Kahlor, L. A., Atkinson, L., & Noh, G. Y. (2021). The impact of emotion and government trust on individuals’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avoidan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cross-country compariso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26(10), 728-741.



 [Study 2] ​COVID-19 위험인식과 블루척도 전국조사 (2020.12) Co-I : 안창현


 연구개요 


코로나19가 예상과는 달리 장기간 지속되면서 일상생활에 제약이 생기고 사회적 소통이 단절되자 사람들은 우울과 불안을 느끼며 정신건강 위기에 놓이게 됐다. 코로나블루는 코로나19와 우울감(blue)이 합쳐진 신조어로 코로나19 확산으로 일상에 큰 변화가 닥치면서 생긴 우울감이나 무기력증을 뜻한다. 이 연구는 코로나 사태 중반기에 국민의 코로나19에 관한 위험인식을 확인하고 한국형 코로나블루 척도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플링 및 방법론


설문조사는 2020년 12월 16일부터 12월 22일까지 온라인 조사 전문 회사인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하여 진행하였다. 설문 응답자는 해당 기관이 보유한 전국 패널 중 참여 의사를 밝힌 사람이며, 서울, 경기/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역에 따른 군 비율을 기준으로 할당 표집하였다. 총 132,842부의 이메일이 발송되었으며, 그 중 2,371명이 실제 설문에 참여하였다. 불완전하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유효표본 1,500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성과


[연구논문]

Ahn, C., & Noh, G. Y. (2021). Testing Extended Parallel Processing Model (EPPM) in the Korean COVID-19 context: Effect of Moral Intuitions as ModeratorsFrontiers in Public Health, 1576.


 [Study 3] ​COVID-19 백신 정보추구 전국조사 (2021.11) Co-I : 임희원


 연구개요 


코로나19 백신 접종자가 늘어나면서 접종 관련 이상반응 혹은 부작용을 경험한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고, 이러한 사례가 연일 언론에 보도되면서, 국민은 언론을 통해 코로나19 백신접종의 혜택과 중요성, 개발상황과 같은 정보와 함께 심각한 부작용에 관한 보도를 접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반된 정보에 대한 지속적인 노출은 사람들에게 코로나19 백신이라는 중요한 예방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 연구는 상반된 정보 이용과 노출이 사람들에게 미치는 개인적, 사회적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통한 대응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플링 및 방법론


설문조사는 온라인 조사 전문기관인 글로벌리서치를 통해서 2021년 11월 24일부터 2021년 12월 10일까지 실시되었다. 설문참가자는 해당 기관이 보유한 전국패널 중 참여의사를 밝힌 사람 중 대한민국 18세 이상 성인 1000명이었다. 표집은 2021년 대한민국 성별, 지역별 인구구성 비율을 고려한 할당표집이었다. 표집결과 남성 49.%, 여성 50.4%, 연령별로는 20대 17.7%, 30대 15.2%, 40대 19.6%, 50대 20.1%, 60대 이상이 27.4% 로 나타났다. 서베이 전제 참여율은 2.1%, 응답률은 1.1%였다.


 연구성과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