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환자의 건강 문해력과 질환관련 지식 및 치료지시 이행에 관한 연구

본문

  • ABSTRACT
  • 연구노트

권명순, 노기영, 장지혜. (2013). 고혈압 환자의 건강 문해력과 질환관련 지식 및 치료지시이행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7(1), 190-202.


ABSTRACT 

Purpose: To survey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literacy,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compliance to medical recommendations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315 patients conveniently selected from public health centers in Gangwon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from January 10, 2013 to February 10, 2013)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Duncan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PASW statistics 18.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literacy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monthly family income and education. In regard to disease-related knowled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marital status and monthly family income.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health literacy and disease-related knowledge (r = .39, p = <.001),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compliance to medical recommendations (r = .28, p = <.001).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health literacy and compliance to medical recommendations. Conclusion: Health literacy and disease-related knowledge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effects of health literacy on chronic diseases.

I. 연구방법

I-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지역에 거주하는 재가 고혈압 환자들을 대상으로 건강 문해력, 질환관련 지식, 치료지시 이행 정도와 그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I-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일개도 지역 18개 시․군의 보건소에 등록된 재가 고혈압환자로 각 시․군별 20명씩 편의 추출하였으며, 표본 수 선정을 위해 G*power 3.1.2를 활용하였다. 중간정도 효과크기 .15, 유의수준 .05, 검정력 80%일 때 표본 수는 270명으로 탈락자를 감안하여 지역에 거주하는 고혈압환자 3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I-3. 연구도구

I-3-1. 건강 문해력(Health literacy) 

 건강 문해력 또는 건강정보 이해능력(health literacy)이란 개인의 의료이용과 관련하여 적절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건강정보를 획득하고, 이해하며,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0). 이와 같은 건강 문해력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Lee와 Kang이 노인의 건강 문해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의건강 문해력 도구를 사용하였다(Lee & Kang, 2009). 이 도구는 Lee와 Kang (2008)의 총 25문항으로 구성된 건강 문해력 도구를 12문항으로 줄인 단축형 도구(Lee & Kang, 2009)로 건강관련 용어 영역(5문항)과 이해 및 수리 영역(7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 문해력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각 영역별로 알코올, 비만, 질병, 고혈압, 생활습관병의 의미를 이해하고 관련된 정보 내에서 적절한 용어를 선택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건강 관련 용어 영역’ 5문항과 기초적인 용량 계산, 진료 예약증의 날짜 확인, 외래 진료 시간표 읽기, 8시간 간격의 복약 시간 계산, 다빈도 질환의 그래프 읽기, 복약 안내문 읽기, 영양성분표의 함유량 읽기의 ‘이해 및 수리 영역’ 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선행연구에서 노인에게 적용하기 위해 개발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뿐만 아니라 성인에게도 적합한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성인 3명과 노인 2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pilot test)를 실시하였다. 사전조사 결과를 토대로 현재 보건소에서 활동하고 있는 간호사 3인과 건강 문해력 개발 경험이 있는 전문가를 통해 적합성을 검증받았다.


I-3-2. 질환관련 지식(Disease-related knowledge) 

 질환관련 지식에 대한 도구는 Min (2011)이 대학병원과 의원급 내과 병원을 내원한 고혈압을 진단 받은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시행한 고혈압 관련 지식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20문항으로 고혈압에 관한 일반적 지식,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치료와 약물, 식이 조절 및 운동과 스트레스에 관한 5가지에 관한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정답은 1점, 오답은 0점으로 처리하여 20점 만점으로 점수화하였다.


I-3-3. 치료지시 이행(Compliance to medical recommendations)

 치료지시 이행이란 질병과 관련된 임상적 처방을 행동으로 취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Min (2011)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20문항으로 5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처방 순응, 생활습관의 실천 영역에 관한 20개 문항을 ‘거의 하지 않음’은 1점, ‘대체로 하지 않음’ 2점, ‘약간 지킴’ 3점, ‘대체로 지킴’ 4점, ‘철저히 지킴’ 5점으로 하여 측정된 점수가 높을수록 치료지시 이행을 잘 하는 것을 의미한다.



I-4. 자료수집

  본 연구는 H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No.: 20130111)로부터 연구목적, 방법론, 피검자 권리보장 및 설문지 구성에 대한 심의를 통과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1월 10일부터 2월 10일까지 4주간이었으며, 자료수집을 위해 일개 도의 시(7개)와 군(11개)의 총 18개 보건소에서 방문건강관리를 담당하는 방문간호사 18명(각 시군별 한 명씩)이 자료수집에 도움을 주었다. 연구도구 측정자 간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방문간호사들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내용을 설명한 후 조사방법에 대한 집단교육을 실시하였다. 집단교육 내용은 각 항목에 대한 조사방법이 구체적으로 기술된 조사도구 사용 설명서를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조사 시 반드시 준수해야 할 사항으로서 조사 대상자에게 연구 목적을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에 한해 조사를 실시할 것과 설문지를 작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20분이고, 연구대상자의 읽고 쓰는 능력이 부족한 경우는 방문간호사가 직접 읽어주고 조사해 줄 것 등을 포함하였다. 설문지는 한 명의 방문간호사가 20부씩 담당하여 총 360부를 배부하였으나, 315부가 회수되어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I-5.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건강 문해력, 질환관련 지식 및 치료지시 이행 정도는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사용하였다.

2)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 문해력, 질환 관련 지식, 치료지시 이행 정도는 t-test, ANOVA 를 사용하였으며 사후검정은 Duncan test를 사용 하였다.

3) 연구 대상자의 건강 문해력에 따른 질환관련 지식 및 치료지시 이행에 차이가 있는지를 ANOVA를 사용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 Duncan test를 사용 하였다.

4) 연구 대상자의 건강 문해력, 질환관련 지식 및 치 료지시 이행 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다.



II.변수 및 연구모델

 변수

문항 

신뢰도 계수

(ɑ)

건강문해력

건강관련 용어 영역

 - Lee와 Kang이 노인의 건강 문해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의 건강 문해력 도구를 사용(Lee & Kang, 2009) 

 - 알코올, 비만, 질병, 고혈압, 생활습관병의 의미를 이해하고 관련된 정보 내에서 적절한 용어를 선택할 수 있는 지를 확인하는 ‘건강 관련 용어 영역’ 5문항

.68

이해 및 수리 영역

 - Lee와 Kang이 노인의 건강 문해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의 건강 문해력 도구를 사용(Lee & Kang, 2009) 

 - 기초적인 용량 계산, 진료 예약증의 날짜 확인, 외래 진료 시간표 읽기, 8시간 간격의 복약 시간 계산, 다빈도 질환의 그래프 읽기, 복약 안내문 읽기, 영양성분표의 함유량 읽기의 ‘이해 및 수리 영역’ 7문항

.70

질환관련 지식

 - Min (2011)이 대학 병원과 의원급 내과 병원을 내원한 고혈압을 진단 받은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시행한 고혈압 관련 지식 측 정 도구를 사용

 - 고혈압에 관한 일반적 지식,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치료와 약물, 식이 조절 및 운동과 스트레스에 관한 5 가지에 관한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정답은 1점, 오답 은 0점으로 처리하여 20점 만점으로 점수화

.73

치료지시 이행

 - 총 20문항으로 5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처방 순응, 생활습관의 실천 영역에 관한 20개 문항을 ‘거의 하지 않음’은 1 점, ‘대체로 하지 않음’ 2점, ‘약간 지킴’ 3점, ‘대체로 지킴’ 4점, ‘철저히 지킴’ 5점으로 하여 측정된 점수가 높을수록 치료지시 이행을 잘 하는 것으로 평가(Min, 2011)

.90



 



Ⅲ. 결론

  본 연구는 만성질환자의 질병 관리에 있어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최근에 관심을 받고 있는 건강 문해력을 중심으로 질환관련 지식, 치료지시 이행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공공보건의료기관인 보건소를 통해 만성질환을 관리하는 재가 고혈압 환자 315명이다. 지역사회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단축형 건강 문해력 도구를 사용하여 건강 문해력, 질환관련 지식과 치료지시 이행정도와 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건강 문해력은 연령, 결혼상태 가족의 월수입,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질환 관련 지식은 성별, 결혼상태 가족의 월수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건강 문해력, 질환관련 지식과 치료 지시 이행의 상관관계 결과에 의하면, 건강 문해력과 질환관련 지식, 질환관련 지식과 치료지시 이행은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건강 문해력과 치료지시 이행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건강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건강 문해력이 질환관련 지식과 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건강 문해력 도구의 평가기준을 마련하고 건강 문해력을 고혈압 뿐 만 아니라 다른 만성질환에도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파일